뒤로가기

  • 물리치료실
    • 통증치료
    • 도수치료
    • 재활운동치료
    • 작업치료
    • 언어치료
  • MRI·CT 영상 검사
    • MRI 검사
    • CT 검사
    • 초음파 검사
  • 위·대장 내시경 검사
    • 위내시경
    • 대장내시경

위·대장 내시경 검사

전체 9


검사 진행 순서
도움이 되었나요?
 

환자 안전을 위해 검사 전 열 체크 및
소독을 실시합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환자 분은 검사 예약 된 시간에 맞춰
내시경 검사실로 이동 합니다.
(수면내시경일 경우 보호자 동행을
권합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내시경 검사를 위해 탈의실에서
환의를 갈아입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내시경센터에 구비되어 있는
대기공간에서 검사를 준비할 동안
잠시 대기를 합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수면내시경일 경우 수면마취를
준비 하며, 의료진의 안내에 따라
검사 베드 위에 자세를 취합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위내시경은 식도에서부터 시작하여
위, 십이지장 내부를 꼼꼼히 관찰하여
염증, 궤양, 헬리코박터균 감염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소요시간은 약 10분~15분 정도
소요되며, 용종제거술이나 조직
검사시 시간이 더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검사가 끝난 후 환자분이 편히
회복할 수 있는 회복실로
이동합니다.

(일반적으로는 30~40분 정도
휴식하는 것이 좋으며 수면에서
깨실 경우 일시적으로 약간의
어지러움이 발생 하실 수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담당 의료진이 검사 사진을 환자분과
함께 보며 검사결과 및 이상소견,
약처방, 추가 검사여부 등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듣습니다.

(이상소견이 있거나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조직검사 및
헬리코박터균 검사를 통해 정확한
검진결과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검사 후 인후 불편감이나
복부 팽만감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 1
전체 6
내시경을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검사 방법이다.
도움이 되었나요?
일반내시경, 수면내시경
도움이 되었나요?
일반적인 위암 검진 대상자는
만 40세~70세까지이며, 특별한
증상이 없는 일반인일 경우 2년에
한번 위 내시경 검사를 권장한다.
도움이 되었나요?
일반적으로 15분 내외에 시행되며,
조직검사 등의 2차 검사가 시행되는
경우 이보다 조금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조직검사를 시행할 경우 검사 종류 및
시행방법에 따라 약 일주일 가량
소요됩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검사 전 8시간 이상 금식을 한 후
검사 직전 내시경 삽입에 따른
통증 경감을 위해 마취제를
목에 30초간 물고 있는 방법으로
목을 국소 마취제(리도케인)로
마취한다.

위 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거품과
가스를 제거하여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스 제거제(시메치콘)를
복용한다.

수면 내시경의 경우 수면제를
주사로 투여한다.
도움이 되었나요?
검사 중 내시경을 통해 공기가
주입하여 위를 부풀여야 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므로 배에
가스 찬 느낌이 발생한다.

이는 검사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이므로
검사 중 트림을 참아야 안전하고
편하게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검사 중 트림을 하게 되면 위가 부풀린
상태가 유지되지 않아 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도움이 되었나요?
  • 1
  • 대표전화 052.259.5000
  • 홈페이지 울산병원 로고
top icon